한눈에 보는 2025 재보궐선거: 전국 12개 선거구, 투표 방법까지! A to Z
▣ 언제, 어디서 투표를 하는지, 준비물, 유의사항?
- 본투표일: 2025년 4월 2일(수) 오전 6시 ~ 오후 8시
- 사전투표일: 2025년 3월 28일(금) ~ 3월 29일(토), 오전 6시 ~ 오후 6시
- 사전투표는 거주지와 상관없이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가능하며, 본투표는 주소지 관할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
▶ 사전투표소 위치 확인 방법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https://www.nec.go.kr
- 포털에서 “사전투표소 찾기” 검색 → 주소 입력 후 확인 가능
▶ 준비물은?
- 신분증은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다음 중 하나로 가능합니다.
- 주민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여권 등
-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 (정부 24, PASS 앱 등) / 단, 캡처 이미지는 불가!
▶ 투표 시 주의사항
- 사전투표와 본투표 모두 지정된 도장으로만 기표 가능
- 기표소 내 투표용지 촬영, 인증숏, SNS 공유 행위는 불법입니다.
- 마스크 착용은 필수가 아니지만, 유증상자는 별도 공간에서 투표 가능
▣ 전국 12개 선거구.. 국회의원 3곳, 기초단체장 2곳, 광역·기초의원 7곳
▶ 기초단체장 선거
선거구 | 전임자 (정당) | 사유 |
---|---|---|
서울 구로구청장 | 문헌일 (국민의힘) | 사직 |
충남 아산시장 | 박경귀 (국민의힘) | 당선무효 |
전남 담양군수 | 이병노 (더불어민주당) | 당선무효 |
경북 김천시장 | 김충섭 (국민의힘) | 당선무효 |
경남 거제시장 | 박종우 (국민의힘) | 당선무효 |
▶ 광역의원 선거
선거구 | 전임자 (정당) | 사유 |
---|---|---|
대구 달서구 제6선거구 | 전태선 (국민의힘) | 당선무효 |
인천 강화군 선거구 | 박용철 (국민의힘) | 사직 |
대전 유성구 제2선거구 | 송대윤 (더불어민주당) | 사망 |
경기 성남시 제6선거구 | 이기인 (개혁신당) | 사직 |
경기 군포시 제4선거구 | 김판수 (더불어민주당) | 사망 |
충남 당진시 제2선거구 | 이완식 (국민의힘) | 당선무효 |
경북 성주군 선거구 | 강만수 (국민의힘) | 당선무효 |
경남 창원시 제12선거구 | 이장우 (국민의힘) | 당선무효 |
▶ 기초의원 선거
선거구 | 전임자 (정당) | 사유 |
---|---|---|
서울 중랑구 다선거구 | 신예진 (국민의힘) | 당연퇴직 |
서울 마포구 사선거구 | 김영미 (더불어민주당) | 사망 |
서울 동작구 나선거구 | 조진희 (더불어민주당) | 피선거권 상실 |
인천 강화군 가선거구 | 오현식 (더불어민주당) | 사직 |
전남 광양시 다선거구 | 신용식 (더불어민주당) | 당선무효 |
전남 담양군 라선거구 | 최용호 (더불어민주당) | 피선거권 상실 |
전남 고흥군 나선거구 | 신건호 (무소속) | 당선무효 |
경북 고령군 나선거구 | 이달호 (국민의힘) | 사망 |
경남 양산시 마선거구 | 김태우 (무소속) | 사직 |
▶ 교육감 선거
선거구 | 전임자 (정당) | 사유 |
---|---|---|
부산광역시교육감 | 하윤수 | 당선무효 |
▣ 재보궐선거란
재보궐선거는 현직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이 사망·사직하거나, 당선무효, 피선거권 상실 등의 사유로 공석이 되었을 때,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치르는 선거입니다.
‘재선거’는 선거 자체가 무효가 되었을 때 다시 치르는 것이고, ‘보궐선거’는 임기 중 궐위(결원)가 생겼을 때 치르는 선거입니다.
▶ 재보궐선거는 언제부터 시행됐나요?
대한민국에서 재보궐선거는 1948년 제헌국회 이후 꾸준히 시행되어 왔으며, 공직선거법 제35조에 따라 연 2회, 4월과 10월에 정기적으로 시행됩니다.
▶ 왜 이렇게 자주 열릴까요?
- 형사처벌로 인한 피선거권 상실 (공직선거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등)
- 자진 사퇴 (총선·지방선거 출마 목적 등)
- 정치적 책임에 따른 사임 또는 건강상의 이유
- 공직 겸직 금지 위반
▶ 선거 비용은 누가 부담할까요?
재보궐선거에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됩니다. (선관위 기준, 수십억 원 규모)
이 비용은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되며, 당선무효, 자진사퇴 등 명확한 귀책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정당 혹은 해당 후보자가 일부 비용을 부담하기도 합니다.
▶ 재보궐선거, 꼭 참여해야 할까?
재보궐선거는 규모가 작아 보일 수 있지만, 지역 국회의원이나 시장·구의원 등 지역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선거입니다.
실제 지역 예산, 정책, 복지, 개발 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 한 표의 가치도 큽니다.
특히 젊은 층의 참여율이 낮기 때문에, 적극적인 참여가 더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결론
2025년 4월 2일 치러지는 재보궐선거는 우리 지역의 대표를 다시 뽑는 중요한 정치적 절차입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언제든 참여가 가능하며, 투표 전 후보자 정보와 지역 공약도 꼼꼼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재보궐 선거는 작지만, 변화의 출발점입니다. 당신의 한 표가 지역을 바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