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닐에 싸인 관봉권 5000만 원, 청와대 그림자?
최근 검찰이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 씨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5천만 원의 비닐 포장 신권 뭉치가 정치권을 중심으로 큰 파장을 낳고 있습니다. 특히 이 돈이 ‘관봉권’ 형태라는 점에서 단순한 현금이 아닌, 권력기관과 연결된 자금일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비닐 돈뭉치'의 정체와 과거 유사 사례, 그리고 앞으로의 파장을 짚어보겠습니다.
1️⃣ 관봉권이란 무엇인가?
관봉권은 한국은행이 금융기관으로 출고할 때 사용하는 정식 비닐 포장된 지폐 묶음을 말합니다. 이 포장에는 기기번호, 담당자명, 책임자, 일련번호, 날짜 등이 인쇄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유통 과정에서는 보기 어렵습니다. 즉,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이 아닌, 금융기관용 원 포장 상태의 지폐 </strong인 것입니다.
2️⃣ 건진법사 자택에서 나온 5천만 원의 정체
검찰은 지난해 12월, 건진법사의 자택에서 1억 6,500만 원 상당의 현금을 발견했으며, 이 중 5천만 원은 2022년 5월 13일자 신권 </strong이었습니다. 하필 그 날짜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3일 후</strong. 무속인의 자택에서 포장 그대로의 신권이 나온 점은 상식적으로 설명이 어렵습니다.
게다가 해당 포장은 ‘한국은행 관봉권’으로, 특정 기관에서 직접 전달되지 않으면 개인이 보관하기 어렵습니다. 과연 이 돈은 누구로부터, 어떤 이유로 전달된 걸까요?
3️⃣ 과거 ‘관봉권’ 사례: 장진수 입막음 의혹과 판박이
2012년, 국무총리실 주무관 장진수 씨에게 5천만 원의 현금이 전달되며 불법 사찰 증거 은폐 시도가 있었던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당시에도 청와대→총리실→장 씨로 전달된 이 돈은 한국은행 관봉권 형태였고, 결국 국정원 특수활동비로 밝혀졌습니다.
이번 건진법사 사건도 돈의 외형, 출처 불분명성, 전달 시기 등에서 당시 사건과 매우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4️⃣ 한국은행의 해명, 그러나 여전히 남는 의혹
한국은행은 이에 대해 “금융기관 요청에 따라 무작위로 지급된 것이며, 일련번호로는 어디로 갔는지 확인할 수 없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2012년 사건 당시에도 반복된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반 시민이 관봉권 형태로 신권 5천만 원을 수령하거나 보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strong하다는 점에서, 해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5️⃣ 이 돈은 어디서, 누구를 통해, 왜 왔을까?
현재 전 씨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닐 포장 그대로의 돈을 받은 사람이 그 경위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이 돈이 관봉권 형태의 정치자금 또는 특수활동비와 관련된 자금</strong이라면, 이번 사건은 ‘건진법사 스캔들’을 넘어 청와대 연루 의혹</strong으로 확산될 수도 있습니다.
※ 본 글은 공개된 언론 보도와 과거 판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개인적 분석과 의견이 포함된 글입니다. 단순 참고용으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